나는 서울에 거주중이라 서울 중심으로하는 국가지원 심리상담을 지원받고있다. (현재 3회차/1회차당 10회를 받는다.)
*전국민마음건강지원사업(나이제한없음, 지원시기 제한없음)도 있지만 이건 다음글에서 작성할 예정이다.
상담을 받게된 계기는..
삶에대한 회의감, 무기력증, 우울감, 대인기피, ADHD,부모님의 이혼 등등 여러가지 요인이 있지만
통틀어서 한문장으로 설명하자면 "삶이 재미가 없다"였다.
나에게 돈을 쓰는건 아깝지는 않은데 심리(=마음)은 눈에 보이지가 않으니괜찮은 것만 같았다.
그래서 모른척하고, 미루고 했던 것들이 어느날 한번에 훅-하고 터지게 된것 같다.
계단을 보면 데굴데굴 굴러서 몇일 병원에서 잠만 자고싶은 생각마저 들었다.
주변 모두가 나에대한 안좋은 말을 하는것 같았고, 하늘이 금방이라도 땅으로 꺼질것 같았다.
이 세상에, 우주에 나 혼자뿐인것 같았다.
정상적인 생각이 아니었다.
그런 내 인생에 터닝포인트가 되어준게 심리상담이었다.
그것도 국가에서 진행한 무료심리 상담 말이다.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이 뭔지를 먼저 소개해야 할것 같다.
※[ 올해 신청하는 기간: 2025 / 09 / 08 -2025 / 09 / 11 ] ※
아래는 AI로 정리한 간단한 소개 내용이다.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 소개
서울시는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청년들의 심리적 안정 및 정신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정신 건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이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서울시는 청년들이 겪는 다양한 정신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 나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결론 = 우리가 낸 세금으로 이런 저런것 지원해주는데 나만 모르면 참 안타까워 진다는것.
최선을 다해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액' 무료다. 뭐 이상한거 가입시키고 이런거 없다. 서울시 자체에서 진행하는 사업이다.
지원 대상 및 자격
청년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의 주요 대상은 만 19세에서 39세까지의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이다. 정신 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이를 예방하고자 하는 청년들이 주 대상이다. 특히, 심리적 상담이 필요한 상황에서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무료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신청자의 정신 건강 상태와 개인적 필요에 따라 지원 자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청 전에 상담기관에 문의하거나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청 방법 및 절차
청년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에 신청하려면 서울시 정신건강센터나 서울시 청년 정신건강 관련 상담 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신청 절차는 간단하지만, 신청 전 정신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 상담을 받는 것이 요구된다. 이후, 전문 상담사와의 면담을 통해 필요한 치료나 지원이 결정된다. 상담 예약은 전화나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며, 서울시 홈페이지나 관련 상담센터에서 보다 자세한 정보와 신청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AI는 친절하면서 불친절하다.
지금은 신청기간은 아니지만 아래 첨부한 링크로 어떤 사업인지 미리 알아보시는걸 추천한다.
귀찮다면 신청기간만 달력에 잘 저장했다가 들어가도 된다.
서울특별시- 청년몽땅 정보통 - 청년정책
https://youth.seoul.go.kr/infoData/plcyInfo/view.do?key=2309150002&plcyBizId=20250519005400210855
제공되는 지원 내용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은 무료 심리 상담을 기본으로, 필요에 따라 심리 치료, 정신과 진료까지 연계해 주는 서비스다.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심리상담까지만 진행해도 전혀 문제없다.) 청년들의 정신 건강을 위해 제공되는 상담은 1:1 맞춤형으로 진행되며, 상담 이후 치료나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면 관련 기관과 연계해 적극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지원 프로그램은 비대면 상담이 가능하여 바쁜 일정을 가진 청년들도 시간에 맞춰 상담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많은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되므로, 경제적 부담 없이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간략히 설명했다. 신청 방법과 자격을 정확하게 알고 준비하면, 어려운 시기에 많은 도움이 될 것같다. 프로그램을 통해 조금이라도 더 나은 마음 건강을 유지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심리상담,우울,번아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후기, 무료심리상담신청방법 (4) | 2025.08.07 |
---|---|
아무 일도 없는데 눈물이 나는 이유 — 무의식 속 우울의 신호 (1) | 2025.08.06 |